우리 커뮤널 테이블: 우리는 어디에서 왔는가? 에 대해서

Eating together as a way of building community in the Korean Canadian diaspora
캐나다 한인 동포들이 커뮤니티를 만드는 방법 중 하나: 함께 모여 같이 밥 먹는 것

Written by / 지은이 Elise Yoon

Translation by / 번역 Euan Hwang


There’s an unspoken, familial comfort in being in a room that smells of japchae.

잡채 냄새가 가득한 방 안에 있으면 뭐라 표현할 수 없는 익숙한 편안함이 느껴진다.

This was the case on Saturday October 21, in a room at Ryerson University’s Ted Rogers School of Management, where each table was set up with Bloor Street’s hodokwaja, kimchi from Busy Bee, and kimbap placed in the middle, not unlike the table set ups you’d find in any given gathering of Korean people. This event, however, was not with my family or a church, which, for me, were the only two contexts for Korean gatherings growing up. There are few spaces as a racialized person you can feel at ease, or at least make you realize you haven’t been at ease in so many spaces until you’re in one surrounded by people who look like you and eat like you.

지난 10월 21일 라이어슨 대학에 있는 한 방안은 딱 이랬었다. 방 한가운데에서 있는  긴 테이블위에 늘어져 있는 한인타운에서만 찾을 수 있는 호도과자, Busy Bee의 김치, 그리고 김밥. 어느 한인 모임에서나 흔하게 볼 수 있는 풍경이다. 하지만 내가 알고 지냈던 가족 또는 교회 모임과는 달랐다. 이번 모임은 나와 비슷한 모습과 식습관을 가진 낯선 사람들과 서로 밥을 나누며  안도감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이었다. 이 도시에 살면서 자주 갖지 못하는 느낌이었다.

This was Woori Communal Table: Where are we from?, the first event of a three part series hosted by Woori Maum Korean Canadian Mental Health Association, exploring the Korean Canadian experience by looking at where we came from, where we are now, and where we are going.

이 모임은 [우리 마음 캐나다 한인 정신 건강 협회]가 계획한 “우리 커뮤널 테이블” 시리즈의 첫 이벤트였다. 음식을 통해서 캐나다 한인들이 과거 어디에서 어떻게 왔고, 현재 어디에 있고, 미래에 어디로 가는지에 대해 생각하고 편히 대화를 나눌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주는 프로젝트다.

Korean and non-Korean people alike gathered together on that Saturday to enjoy a panel discussion on cultural and personal ties to food while sampling japchae, bulgogi, gujeolpan and a persimmon drink called sujeonggwa for dessert. There was no better way to start the immense conversation on Korean Canadian experience, but through what has always brought us together: the act of sharing food.

그 날엔 한인들 포함해 여러 다양한 문화 사람들이 한 공간에 모여 잡채, 불고기, 구절판 그리고 수정과를 맛보며 한국인의 식문화에 대한 여러가지 이야기를 나누었다. 재외동포들의 경험을 나누기 위해서 함께 모여 밥을 먹는 것보다 더 좋은 방법은 없었다.

The first panelists, Grace Park and Olive Suk, brought us bujimgae and japchae and shared their stories in Korean. Attendees who weren’t Korean as well as children of Korean lineage with partial grasp of the language had the benefit of a written translation. I thought to myself in this moment how rare it was to be at an event that was accessible and relevant to both me and my parents simultaneously. Although they weren’t present, I knew they could be, not only because of language, but because when Olive talked about her struggles as an immigrant parent raising two children in a new country, I thought of my own umma and appa. She spoke of feelings of isolation in being a foreigner in Canada, and how making food in a community kitchen brought her a sense of purpose and community, not to mention a taste of home. As we sampled the japchae, Olive spoke about how it is a Korean party staple. I knew exactly what she meant as I chewed on these slippery noodles, and remembered new year’s dinners of japchae mounds next to a hill of kimbap that you know the women in your family spent all morning rolling.

부침개와 잡채를 나누며 패널리스트 Grace Park씨와 Olive Suk씨가 그 날의 첫번째 이야기를 한국어로 시작했다. 2세들과 한국어를 모르는 참석자 분들은 미리 준비한 번역본을 통해 이야기에 참여할 수 있었다. 나는 부모님과 함께 편히 공감을 느낄 수 있는 장소가 얼마나 귀한지 느꼈다. 비록 그들은 참석하지 못했지만,  Olive씨가 새로운 나라에 이민와서 두 명의 자식을 키우면서 겪은 경험들을 들으면서 나는 엄마 아빠가 떠올랐다. Olive씨는 커뮤니티 키친에서 음식을 만들며 캐나다에서 외국인으로서 살면서 느낀 고립감을 해소하고 고향을 느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잡채를 같이 나눠 먹을때 Olive씨는 잡채가 한인 모임에 빠질 수 없는 대중 음식이라고 소개했다. 나는 미끄러운 당면을 먹으면서 신년 식사 때마다 여성분들이 아침부터 열심히 준비한 산더미 같이 쌓인 잡채가 생각났다.

Food as healing was the theme that emerged of the evening. Panelist Jason Lee spoke about memories of food insecurity as a student youth and the impact this had on both his physical and mental health. He reflected on how learning to make Korean food brought him closer to the culture. Another panelist named Grace Cho (behind community meal project Manimogo) spoke about what makes our parents happy regardless of financial or immigration struggles: knowing their children are well fed. I thought about how my parents show their love by telling me to eat lots, and how, on hard days, the best comfort food is my mother’s doenjang jjigae. Hearing these stories, I realized how food heals us, not only by its nutrients and nostalgia, but also by bringing us together as a community.

음식으로 얻는 마음의 치유는 그 날의 주제였다.  또 한 패널리스트 Jason Lee씨는 어렸을 때 음식을 넉넉히 사고 만들수 있는 여유가 없어서 받은 육체적 그리고 정신적 피해에 관해 설명하며 한국 음식을 만들면서 자신의 문화에 좀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었다고 말했다. ‘많이먹어’ 커뮤니티 밥상 프로젝트를 시작한 Grace Cho씨는 이민자들의 금전적인 문제나  여러가지 어려움을 한인 부모님들은 아이들을 배불리 먹이면서 해소한다고 설명했다. 엄마 아빠가 많이 먹으라고 잔소리하는 특유의 사랑 표현과 힘들 때 몸보신 하라고 엄마가 만들어준 된장찌개가 생각난다. 두 패널리스트의 이야기를 들으며 음식이 사람들을 함께 모이게 하고 우리 마음을 위로 시키는 대단한 힘이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Panelist David Cho noted how the beauty of Korean cuisine is that it’s communal. In a Korean household, you always set the table with a variety of banchan (side dishes) in the middle, and the occasional shared plate of fish picked on with chopsticks by the whole family throughout the meal. It is this act of sharing food that makes this community; cooking for each other and knowing our loved ones are eating the meals that go back generations on a land that has only had us for the 1st or 2nd. It is a way of connecting to our ancestors, however far we may feel from them in the complexities of assimilation and lost language. It is a way of connecting to each other, by eating together and finding home in each other as foreigners.

패널리스트 David Cho씨는 한국 음식 문화가 아름다운 이유 중 하나가 공동체적으로 먹는 문화라고 말했다. 보통 한인 가정집에 가면 언제나 밥상 한가운데에 여러가지 반찬이 놓여져 있고  여러 젓가락들이 생선 요리를 발라 나눠 먹는다. 1세와 2세밖에 살지 못한 이 나라에서 사랑하는 가족들이 내가 만든 음식을 맛있게 먹어준다는 것은 외국에 동화하면서 겪는 여러가지 어려움을 이겨낼 수 있는 우리만의 방법이다. 또한, 음식을 통해 먼 고향에 있는 조상들과 우리를 이어주면서 외국인으로 대하는 이 나라에서 우리가 어디에서 왔는지에 대해 깊게 생각하게 해주기도 한다.

I believe panelist Olive said it best: even if we don’t talk a lot, through eating together there is community. I thought about how migration splits our tongue, and the dinner tables that mend us back. Meals we ate in silence when there were no words to say in either language. Forgiveness asked for in a helping hand in the kitchen. The love in cooling down a spoonful of jjigae for your child.

그날 나는 패널리스트 Olive 씨의 말이 더욱 깊게 와닿았다. 말을 잘하지 못해도 우리는 같이 음식을 먹는것으로 인해 우리만의 커뮤니티를 만든다. 이주로 인해 서로 말이 통하지 않아도 같이 앉아서 먹는 저녁 식사는 갈라진 틈을 메꾸어 준다.  서로 영어나 한국어로 아무 말도 하지 않는  침묵한 식사.  부엌에서 도움의 손을 주며 용서를 빌었던 시간. 아이를 위해 숟가락에 담긴 뜨거운 찌개를 후후 불어주는 사랑.

As moderator Harriet Kim reminded us at the start of the event, food is a verb. The process of growing, fermenting, eating, sharing food is at the heart of Korean identity and culture. It is this experience of food that makes us. The smell of japchae in a room. The image of our ummas making kimchi in a large steel bowl on the kitchen floor. The soups we all eat as tradition (ddukguk on new year’s day, miyeokguk on birthdays). It would be a lie to say that my cultural ties are as simple as a plate of starch noodles, and that my Koreanness has never caused me pain. But that’s essentially the point. In the hardship and heartbreak of something as nuanced as diasporic identity, food remains so simple.

이벤트의 사회자인 Harriet Kim씨는 음식이라는 단어는 동사라고 말했다. 한국인의 정체성과 문화속에는 음식을 기르고 발효시키고 먹고 나누는 것이 중심에 있다. 이 모든 음식의 경험이 우리가 누구인지 형성해준다. 방 안 가득한 잡채 냄새. 부엌 바닥에 큰 대야를 놓고 김치를 만드는 우리 엄마들의 모습. 생일때 먹는 미역국과 설날때 먹는 떡국. 단순히 국수 한그릇이 나와 한국 문화를 연결해 줄 수도 없고 한국인으로서 받고 느끼는 여러가지 아픔들을 표현할 수 없다. 하지만 그것이 바로 이 모든것의 답이다. 재외동포로서 우리는 복잡한 감정들과 어려움을 겪지만 우리의음식은 한결같고 단순하다.

As integral food is to our cultural identities, our access differs. I think about the young Korean student living on their own for the first time. I think about the families relying on items available at food banks and the meals at drop-ins. I think about our elders at homes and hospitals. Rising prices of fresh fruits and vegetables. Food deserts, or neighbourhoods without culturally-specific grocery stores. Sometimes, we don’t get to choose the foods we eat. Sometimes, we live isolated from our communities and families. There is no doubt these factors have huge effects on mental, physical and emotional wellbeing, and it is why initiatives like Woori Communal Table exist. Spaces like these are meant to start the conversation on common struggles, to feel less alone, and to empower one another over a shared meal, with food that belongs to us.

음식은 우리 문화의 필수적인 요소이지만 음식을 접하는 방범은 사람마다 다르다. 나는 이곳에서 처음 혼자 살게 된 한국 학생들을 생각한다. 나는 푸드 뱅크나무료 급식소를 통해서 끼니를 때워야 하는 가족들을 생각한다. 나는 병원과 양로원에 계신 노인분들을 생각한다. 천정부지로 솟는 신선한  과일과 채소 물가. 식품 사막 (신선한 음식을 구매하기 어렵거나 비싼 지역), 그리고 다양한 식품을 팔지 않는 지역들. 어떨때 우리는 무엇을 먹을지 결정할 수 있는 자유가 없다. 어떨 대 우리는 가족과 커뮤니티와 멀리 떨어져 살아야된다. 이런 모든 점들이 우리의 몸, 마음 그리고 감정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우리 마음 커뮤널 테이블”같은 프로젝트가 필요하다. 이런 공간들 속에서 우리는 음식을 먹으며 우리들이 겪는 어려움을 나누고 공감하며 서로 자율권을 줄 기회를 준다.


Keep updated on Woori Maum’s next event by subscribing to their mailing list at woorimaum.toronto@gmail.com or following on Facebook @woorimaumtoronto.

Event supporters @busybeekimchi and @hodokwaja are also available on Instagram.

다음 이벤트 업데이트를 받고 싶으시면 이메일 woorimaum.toronto@gmail.com또는 페이스북 @woorimaumtoronto으로 연락주세요!

이벤트 도와주신 Busy Bee Kimchi (@busybeekimchi) 와 호도과자(@hodokwaja) 는 인스타그램 통해 방문하세요.


Elise Yoon sits on the Toronto Youth Food Policy Council as Education Co-Lead. You can email her at eyoon@tyfpc.ca.

Photographs by Bomkee Photography.
Website | Instagram | Facebook


Edited by Aliya Ghare

Korean Translation Edit by Mirae Lee